728x90
반응형

자바 34

자바 - 참조 타입

메모리 구조 코드영역 메모리의 코드(code) 영역은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텍스트 영역이라고 한다. CPU는 코드 영역에 저장된 명령어를 하나씩 가져가서 처리하게 된다. 데이터영역 메모리의 데이터(data) 영역은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와 정적(static)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데이터 영역은 프로그램 시작과 함께 할당되며,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소멸한다. 스택영역 메모리의 스택(stack)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관계되는 지역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스택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함께 할당되며, 함수의 호출이 완료되면 소멸한다. 스택 영역은 푸시(push)동작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팝(pop) 동작으로 데이터를 인출한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 First-..

자바 2023.01.09

자바 - 조건문과 반복문

코드 실행 흐름 제어 코드가 실행되는 흐름 제어하기 실행 흐름 : main() 메소드의 시작 중괄호 ({)에서 끝 중괄호(})까지 위부터 아래로 실행되는 흐름 흐름 제어문 : 실행 흐름을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것 루핑 : 반복문이 실행 완료된 경우 제어문 처음으로 다시 되돌아가 반복 실행 되는 것 조건문 반복문 if 문 , switch 문 for 문, while 문, do-while 문 if문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if 문 If 문 :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 실행 여부가 결정 조건식에는 true 또는 false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식이나 boolean 변수가 올 수 있음 조건식이 true이면 블록을 실행하고 false이면 블록을 실행하지 않음 if-else 문 : 조건식..

자바 2023.01.06

자바 - 연산자

부호 연산자 부호 연산자는 변수의 부호를 유지하거나 변경 연산식 설명 +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부호 유지 -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부호 변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1 증가시키거나 1감소시킴 연산식 설명 ++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킴 --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킴 피연산자 ++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킴 피연산자 --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킴 산술 연산자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로 총 5개 연산식 설명 피연산자 + 피연산자 덧셈 연산 피연산자 - 피연산자 뺄셈 연산 피연산자 * 피연산자 곱셈 연산 피연산자 / 피연산자 나눗셈 연산 피연산자 % 피연산자 나눗셈의 나머지를 산출하..

자바 2023.01.05

자바 - 변수와 타입

변수 변수 (variable)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번지에 붙여진 이름 자바의 변수는 다양한 타입(정수형, 실수형 등)의 값을 저장 할 수 없다. 변수 선언 변수를 사용하려면 변수 선언이 필요. 변수 선언은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그리고 변수 이름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 - 변수에 최초로 값이 대입될 때 메모리에 할당되고, 할당 메모리에 값이 저장 byte, short, char, int, long 타입 변수는 선언될 때의 타입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허용 범위가 달라짐 정수 타입은 5개로 메모리 할당 크기와 저장되는 값의 범위가 다름 메모리 크기를 n이라고 했을 때 정수 타입은 동일한 구조의 2진수로 저장 문자 리터럴과 char 타입 문자 리터럴 : 하나의 ..

자바 2023.01.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