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구축하는데 알아야 할 필수 개념과 명령어
시작과 종료
- 종료하는 방법
- 바탕 화면의 [오른쪽 위] → [컴퓨터 끄기] → <컴퓨터 끄기>
- 터미널/콘솔에서 시스템 종료 명령 입력 “shutdown –P now” , “halt –p” , “init 0”
- 시스템 재부팅
- 바탕 화면의 [오른쪽 위] → [컴퓨터 끄기] → <다시 시작>
- 터미널/콘솔에서 시스템 재부팅 명령 입력 “shutdown -r now” , “reboot” , “init 6”
- 로그아웃
- 바탕 화면의 [오른쪽 위] → [사용자 이름] → [로그아웃]
- 터미널/콘솔에서 시스템 종료 명령 입력 “logout” 또는 “exit”
> # 프롬프트는 root 사용자
가상 콘솔
- 쉽게 ‘가상의 모니터’라 생각하면 됨. CentOS는 총 5~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
- 각각의 가상 콘솔로 이동하는 단축키는 Ctrl+ Alt + F3 ~ F6 (Ctrl + Alt + F2는 X윈도우 모드)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실습)
- 실습목표
- 멀티유저의 환경을 실습해 본다.
- 가상 콘솔 기능을 활용해 본다.
Ctrl + Alt + F3 누르면 밑에 사진처럼 새창이 뜸
Ctrl + Alt + F2
누르면 다시 전환가능
Ctrl + Alt + F4 누르면 새창으로 띄울수있음
* centos 계정에서 shutdown -P 를 입력하면 입력이 안됨, root 계정에서 shutdown -P +15 입력하면 15분 뒤에 꺼진다고 알림이옴, centos 계정에서 알림창이 뜸 15분 뒤에 꺼짐이라고
런 레벨(Runlevel)
- init’ 명령어 뒤에 붙는 숫자를 런레벨RunLevel이라고 부른다.
-
런레벨 모드를 확인하려면 /lib/systemd/system 디렉터리의 runlevel?.target 파일을 확인
자동 완성과 히스토리
- 자동 완성이란 파일명의 일부만 입력한 후에 Tab키를 눌러 나머지 파일명을 자동으로 완성하는 기능을 말함.
- 예)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를 입력하려면 cd /et[Tab키]sysco[Tab키]net[Tab키]
- 도스 키란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상/하 화살표 키를 이용해서 다시 나타내는 기능을 말함.
에디터 사용
- vi 에디터 사용법 개요도
ex 모드: w : 저장: q : 나가기: i : 취소: q! : 강제 종료하
vi의 비정상 종료시 조치법
vi의 비정상 종료 후 다시 열었을 때
vi 기능 요약
- 명령모드 à 입력모드
- 명령 모드에서 커서를 이동
- 명령 모드에서 삭제, 복사, 붙여넣기
도움말 사용법
- man 명령어”를 사용하면 도움말 출력

마운트와 CD/DVD 및 USB 메모리의 활용
-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한 위치(대개는 디렉터리)에 연결시켜 주는 과정
CD/DVD 마운트
리눅스 기본 명령어 >>> https://rogi221.tistory.com/127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ls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로,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 예) # ls /etc/sysconfig cd 디렉터리를 이동 예) # cd ../etc/sysconfig pwd 현재 디렉터리의 전체 경로를 출력
rogi221.tistory.com
사용자와 그룹, 관련명령어 >>> https://rogi221.tistory.com/128
이것이 리눅스다 - 사용자와 그룹, 관련 명령어
사용자와 그룹(1)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Multi-User System) 임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수퍼유저(Superuser)가 있으며,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 모든 사용자를 하나 이상의
rogi221.tistory.com
서버를 구축하는데 알아야 할 필수 개념과 명령어 02 >>> https://rogi221.tistory.com/131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리눅스다 - 서버를 구축하는데 알아야 할 필수 개념과 명령어 02 (0) | 2023.03.10 |
---|---|
이것이 리눅스다 - 명령어 등 (0) | 2023.03.10 |
이것이 리눅스다 - 사용자와 그룹, 관련 명령어 (0) | 2023.03.10 |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3.03.10 |
이것이리눅스다 - 리눅스 소개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