빔이란
• 터미널 화면에서 키보드만 이용해서 텍스트 문서를 만들 수 있다면 시간도 단축되고,
키보드와 마우스를 분주하게 오가지 않아도 됨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가 바로 빔(Vim)!
• 빔 편집기는 터미널 창에서 키보드에서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일반 편집기와 다름
빔에서 문서 작성하고 저장하기
1. 깃 배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터미널 창을 열면 홈 디렉터리부터 시작
Documents 디렉터리로 이동한 후 test 디렉터리를 만들고 test 디렉터리로 이동
$ cd Documents
$ mkdir test
$ cd test
2. 현재 디렉터리인 test 디렉터리에 test.txt 파일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이 vim 명령을 입력
vim 명령 다음에 파일 이름을 입력했을 때, 그 이름과 같은 파일이 없다면 그 이름으로 새로운 텍스트 문서를 만듦
$ vim test.txt
3. 명령을 입력했을 때 다음과 같이 화면이 바뀌면 빔이 잘 실행된 것
화면 왼쪽 위에는 커서가 깜박이고 왼쪽 아래에는 현재 열려 있는 파일 이름이 표시됨
4. 새로 만든 파일에 아무 내용이나 입력해 보면 제대로 입력되지 않음
빔에는 문서를 작성하는 ‘입력 모드’와 문서를 저장하는 ‘ex 모드’가 있음
빔은 처음에 ‘ex모드’로 열리므로 어떤 키를 눌러도 반응이 없는 것
5. 빔 편집기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려면 ex 모드 상태에서 {{ I }} 또는 {{ A }}를 눌러서 입력 모드 상태로 바꿔야 함
입력 모드 상태가 되면 화면 맨 아래 ‘INSERT’ 또는 ‘끼워넣기’라는 단어가 뜨는데, 이때부터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음
test.txt 파일에 간단하게 텍스트를 입력
6. 텍스트를 입력하고 나서 파일을 저장하려면 다시 ex 모드로 돌아가야 함
입력 모드에서 ex 모드로 돌아가려면 {{ Esc }}를 누르고 ‘:’를 입력
원래 ‘INSERT’ 또는 ‘끼워넣기’가 있던 자리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음
그리고 ‘:’ 뒤에 ‘wq’라고 명령을 입력한 후 {{ Enter }}를 누름
7. {{ Enter }}를 누르면 작성한 파일이 저장되고 편집기가 종료되면서 빔 편집기를 시작했던 터미널 창으로 되돌아감
cat 명령으로 텍스트 문서 확인하기
• 터미널 창에서 텍스트 문서의 내용을 간단히 확인할 때는 리눅스의 cat 명령을 사용
• cat 명령 다음에 텍스트 파일 이름을 함께 사용하면 터미널 창에 그 텍스트 파일 내용을 보여줌
• 터미널 창에서 cat 명령 다음에 test.txt를 입력하면 앞에서 작성했던 test.txt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
빔의 ex 모드 명령
• 빔의 ex 모드에서 사용하는 명령은 콜론(:)으로 시작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Git) - 커밋 내용 확인하기 - 03, 버전 만드는 단계마다 파일 상태 알아보기 - 04 (0) | 2023.01.02 |
---|---|
깃 - 커밋 만들기 (연습) (0) | 2023.01.02 |
깃(Git) - 깃 버전 만들기 - 02 (0) | 2023.01.02 |
깃(Git) - 저장소 만들기 - 01 (0) | 2023.01.02 |
깃(Git) (0) | 2023.01.02 |